SW 구현 단계 대가 산정 방식에는 기능점수 방식과 투입공수에 의한 방식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기능 점수 방식에 의한 소프트웨어 개발비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기능점수 방식이란?
기능점수(FP : Function Point) 방법은 사용자 관점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을 최대한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소프트웨어 규모 측정 방법입니다. ISO/IEC 14143(FSM : Functional Size Measurement)으로 SW 규모에 대한 국제 표준입니다.
기능점수 방식의 특징
-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적 요구사항을 측정
-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의 공급자 관점이 아니라 “사용자가 어떠한 기능을 요구했는지”의 수요자 관점에서 측정
- 개발 이전에 업무량을 측정할 수 있음
- 개발은 물론 기획, 운영 등 전 수명주기에 걸쳐서 측정 가능
기능점수란 ?
기능점수(FP : Function Point)란 사용자 관점에서 측정된 소프트웨어 기능의 양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의 규모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소프트웨어 기능은 사용자 관점에서 데이터 측면의 기능과 트랜잭션 측면의 기능으로 구분합니다.
소프트웨어 기능을 좀더 세분화하여
데이터 기능에는 내부논리파일(ILF : Internal Logical Files), 외부연계파일(EIF : External Interface Files)
트랜잭션 기능에는 외부입력(EI : External Input), 외부출력(EO : External Output), 외부조회(EQ : External in Inquiry)로 구분합니다.
용어가 입에 딱 붙지도 않고 이름만 보고 무엇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아마도, 영어 용어를 그대로 직역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기능 점수는 차차 별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PMO > SW 대가 산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적용기간:2024.1.1~2024.12.31) (0) | 2024.02.26 |
---|---|
2018년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적용기간:2018.09.01~2019.08.31) (0) | 2018.11.13 |
SW사업 구현단계 대가 산정 (0) | 2018.03.13 |
직접경비 (0) | 2018.01.31 |
SW사업 대가산정 유형별 산정 방법 (0) | 2018.01.26 |